별 도움 안 되는
스팀 덱 SSD 또 교체, 마이그레이션 후 부팅 불가 고치기
스팀 덱 SSD 또 교체, 마이그레이션 후 부팅 불가 고치기
2023.02.01스팀 덱 SSD는 이미 1TB로 교체해 두었지만 SN740 2TB가 고작 20만 원밖에 안 한다면 일단 무지성으로 사야 하는 거 맞잖아? 교체는 지난번에도 해봤으니 일도 아니고 기본 설정에서 크게 손댄 건 없어서 다시 세팅하는 게 살짝 귀찮 어렵지는 않다. 하지만 이미 설치해 둔 게임이 400GB 조금 넘어서 새로 다운받기엔 시간이 너무 걸리는 고로 이번에는 마이그레이션을 시도해보기로 했다. 매번 유용하게 쓰고 있는 Macrium Reflect. 전엔 프리 버전은 기간 제한 없이 쓸 수 있었지만 새로 다운받으려고 보니 30일 체험판으로 바뀌었다. 으음. 뭐 어쨌든, 디스크 복제...를 해야 하는데 기존 SSD가 1TB고 새로 넣을 놈은 2TB라 1TB가 남겠지? /home 이 게임 설치 파티션이라 남은 ..
국내 판매 중인 HDMI 선택기는 진짜 HDMI-CEC를 지원하지 않는 걸까?
국내 판매 중인 HDMI 선택기는 진짜 HDMI-CEC를 지원하지 않는 걸까?
2023.01.31프로젝터에서 영상을 보겠다고 크롬캐스트를 사면서 결과적으로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헛짓이었지만 프로젝터엔 HDMI 포트가 달랑 한 개뿐이라 필연적으로 HDMI 선택기? 스위치?가 필요해졌다. 그냥 2 in 1 out 저려미로 구매하려다가 미래의 내가 무슨 짓을 하게 될지 모르는 거니까. 여유를 둬서 입력이 3, 4개 정도 되는 제품으로 고르는데 어찌 된 게 죄다 HDMI-CEC 지원 여부가 표기되어있지 않다. 아, 일단 HDMI-CEC가 뭐냐면 HDMI로 연결된 기기끼리 리모컨이나 제어 신호를 공유하는 뭐 대충 그런 거. 덕분에 엑박만 켜도 프로젝터가 같이 켜지고 엑박을 끄면 프로젝터도 같이 꺼짐. 개꿀이다. CEC 안 된다고 못 쓰는 건 아니지만, 그럼 각각 켜고 끄고 해야 하니 귀찮잖. 암튼, 혹시나 스..
XBOX에서 KODI가 되네...?
XBOX에서 KODI가 되네...?
2023.01.28어쨌든 결론부터 말하자면 제목 그대로다. 엑스박스 시리즈 S, X에서 KODI가 된다. 것도 아주 잘. 그러니 오늘은 여기서 끗!... 하면 억울해서 잠 못 잘 것 같으니까 또 삽질한 썰을 풀어야겠다. 프리스타일 프로젝터 덕분에 완벽?한 눕겜 환경이 만들어졌지만 왠지 누워서 게임만 하기엔 뭔가 많이 아숩고 아꿉다. 그래도 프로젝턴데 영상도 봐줘야 하지 않겠나. 뭐 그런 거지. 각종 OTT 앱이 다 탑재되어 있었고, TV 플러스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나스에 있는 영상들이 보고 싶었다. 다행히 간단하게도 아이폰의 미러링 기능을 이용해서 쉽게 해결되는 듯했지만, 또 당연히 문제가 있었음. 폰 화면을 꺼도 영상은 계속 나오는데 자막이 안 나온다. 아... 그래서 한동안 잊고 있었던 plex를 꺼내 보기로 했다. ..
시놀로지 나스에서 2.5 기가비트 이더넷을 써보자
시놀로지 나스에서 2.5 기가비트 이더넷을 써보자
2023.01.26어쩌다 우연한 계기로 지금 사용 중인 공유기에서 무선 실제 속도가 1Gbps 이상 나온다는 걸 발견해버렸다. 하지만 나스 랜이 1Gbe라 나가리가 될 뻔...했다가 다행?히 내가 사용 중인 DS918+는 랜 포트가 두 개이고 그걸 묶어서 속도를 올리는 방법이 있었다. 그래서 지난번에 링크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는 AX88U를 샀었고 당연히 대차게 실패했지. 근데 이번에 알게 된 충격적인 사실. 링크 어그리는 속도를 올리기 위한 방법이 아니었다...! 링크 어그리가 아닌 SMB 멀티 채널을 활성화해야 하는 거였음. 물론, 지난 번 삽질 때 그것도 당연히 작업을 해줬었지만, 나스뿐만 아니라 PC에도 랜선 두 개를 연결해야 완성되는 거. PC가 공유기랑 2.5Gbe로 연결돼 있어서 대역폭은 충분하니까 될 줄 알..
ASUS 공유기 브릿지 모드에서 속도 떡락 문제는 그냥 와이파이 6 (AX) 탓이었다.
ASUS 공유기 브릿지 모드에서 속도 떡락 문제는 그냥 와이파이 6 (AX) 탓이었다.
2023.01.26전에 공유기에 첫 돈지랄을 했을 때 ASUS의 AX88U를 샀다가 되팔았었는데 메인 공유기인 RAX120을 AX 모드+160MHz로 설정하면 속도가 이따위로 개판 나는 말도 안 되는 문제 그리고 SKT 스마트 플러그(RTP-2019W) 처음 설정할 때 죽어도 안 붙는 문제도 있어서 AC 모드+80MHz 설정으로 쓰고 있었다. (스마트 플러그는 첫 설정만 넘기면 이후로는 AX에서도 잘 붙긴 했지만.) 중간에 고생 좀 하고, 공유기도 AX86U로 바뀌고 그랬지만 손 대기 귀찮아서 쭉 이대로 유지하고 있었음. 그러다 그냥 아무런 이유 없이 공유기 설정을 건들다보니 보안 옵션을 WPA3로 바꾸니까 160MHz에서도 속도가 잘 나온다??? 신기해서 막 이것저것 바꾸고 그러다가 찾아낸 결론은 WPA3는 상관이 없었..
노예 PC로 딱 좋은 HP 엘리트데스크 705 G4 미니
노예 PC로 딱 좋은 HP 엘리트데스크 705 G4 미니
2023.01.20원격지에서 접속할 노예 PC가 급 땡겨서 (+시드 유지용) 방에 둘 건데 팬 달린 건 시끄러우니까 팬리스 제품으로 골라 Minisforum N40이란 걸 샀는데, 2 코어 2 쓰레드 아톰... 아니 셀러론 N4020이라 진짜 느림. 개같이 느림. 그리고 기본 용량도 무려 eMMC 64GB라 답이 없어서 확장한답시고 256GB SSD를 사다가 끼워 놓기까지 했는데. (이것도 NVMe로 샀더니 M.2 SATA만 지원해서 이중지출ㅋㅋ) 하지만 결국 이사 보낸 프린터에 연결하기 위해 옆방으로 가게 되었다. 이러면 느려터진 팬리스 PC를 살 필요가 1도 없었잖ㅋㅋㅋㅋㅋ 그라고 나서 데스크 미니 조립하고 간단하게 테스트할 때 생각보다 전력 소모가 엄청 적은 걸 보곤 나스를 줄이고 데스크 미니에 DAS를 붙여서 써도..
무선으로 스팀 덱과 프로젝터를 연결해 보자...?
무선으로 스팀 덱과 프로젝터를 연결해 보자...?
2023.01.17눕겜 환경을 구축하면서 엑시스를 프로젝터와 연결해두었는데 뭔가 엑박 플랫폼의 게임만 구동하기에는 좀 아쉽다. 뭐 PC가 바로 옆에 있어서 그냥 HDMI 케이블만 가져다 연결해주면 끝나는 일이었겠지만, 그건 왠지 낭만이 없잖아. 근데 마침 앞에 있던 서팀 덱이 눈에 들어왔고 이걸 무선으로 연결하면 딱 좋겠다는 생각이 스쳤다. 그리고 아이디어도 같이 반짝하고 떠올라 바로 실행에 옮김. 일단 굴러다니는 폰, 태블릿 하나가 필요하다. 굳이 굴러다니는 거 아니더라도 님 폰 없 ㅋ ? 일단 서팀 덱에는 리모트 플레이 기능이 내장돼있다. 고걸 폰의 스팀 링크 앱을 이용해서 연결한 뒤 폰의 미러링 기능으로 프로젝터에 연결하면...! 뭐야 이게 이렇게 쉽게 되네?ㅋ 굴러다니던 미 패드 4를 가져다가 똑같이 해보았고 결과..
스팀 덱 SSD를 교체해 보자
스팀 덱 SSD를 교체해 보자
2022.12.29$399, 58.9만 원이라는 착한 가격에 출시되었지만 문제는 기본 모델의 용량이 꼴랑 64GBㅋ 256GB는 79만 원, 512GB는 99만 원으로 상위 옵션을 선택하면 가성비와는 멀어지게 된다. 뭐 외장 메모리에 게임을 설치해서 돌려도 되지만 그래도 일단은 내장 용량이 넉넉해야 든든하니까. 처음 부팅하자마자 본 상태. 여유 공간은 고작 43GB. 요즘 AAA 게임은 최소 7, 80GB씩 되니 택도 없고 인디게임들도 점점 용량이 커지고 있다. 애초에 SSD 업글을 염두에 두고 64GB를 샀다. 그래서 준비한 1TBㅋ WD SN530 2230사이즈인데 태오배오에서 직구하면 12만 원 정도. (지금은 씨가 말랐고 대신 SN740이 팔리는 듯.) 스팀 덱 64GB와 256GB의 가격 차가 20만 원이니 SS..
클라우드플레어로 네임 서버 이사 feat. DNSever 장애
클라우드플레어로 네임 서버 이사 feat. DNSever 장애
2022.12.24아주 오오오래전부터 네임 서버로 DNSever를 사용하고 있었다. 아는 형님의 도움을 받아서 shoony.net을 블로그에 연결했는데 당시 무료였던 DNSever를 네임 서버로 사용했고 그대로 그냥 눌러앉은 그런 케이스. 근데 웹포워딩이 필요해서 유료 결제를 시작해가지고 2024년까지 이미 갱신되어 있다. 씁. 그러다 DNS 서비스도 유료로 바뀌면서 이것도 8년 넘게 돈 주고 써오고 있었그나. 뭐 둘 다 합쳐도 일 년에 만 오천 원? 정도라 막 부담되는 금액은 아닌데다 무엇보다 귀찮아서 그냥 쭉 냅두고 있었는데, 어제저녁에 갑자기 접속이 안 됨. 1, 2분 정도 먹통인 경우는 종종 겪어서 그러려니...가 아니라 십 분이 넘어도 여전히 맛감이네? 근데 shoony.net이 아니라 shoony.tistory..
시놀로지 DDNS 끊김, 드디어 해결
시놀로지 DDNS 끊김, 드디어 해결
2022.11.15RAX120으로 교체 후 간헐적 접속 끊김에 대한 해결책으로 Disable PMF까지는 도달했다. 이후로 아이폰에서는 접속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니 분명 이게 해결책이 맞을거임. 근데 그렇게 설정을 마쳤음에도 또 지랄 시작. 나스 담당 일진을 R7000에서 R6700으로 바꿔봤는데도 여전히 DDNS 끊김 문제가 나타났다. 이쯤 되면 의심은 RAX120이 아닌 R7000, R6700으로 넘어간다. 이 두 놈이 사실상 쌍둥이와도 같은 물건이다 보니 애초에 바꿔 끼우는 게 의미가 없었을 것 같기도. 암튼, 10월 5일에 또 DDNS 끊김 메일을 받고 빡쳐서 공유기를 새로 사버림. 그리고 며칠 방치하다가 10월 16일 또 메일이 왔길래 이번엔 드디어 담당 일진 교체. 아수...아니 에이수스 RT-AX86U. A..
오로치 v2 텅텅 소리를 잡아보자 (스프링 제거)
오로치 v2 텅텅 소리를 잡아보자 (스프링 제거)
2022.11.08일단 이 문제?는 AAA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텅텅 소리의 원인이 AA 배터리의 마이너스 극에 있는 스프링이 울리는 소리이므로 AA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스프링이 압축, 고정되어 있으니 당연히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AAA 배터리 단자 쪽은 고정이 잘 되어있는지 잡소리가 안 남. 간단?한 해결책으로는 AAA to AA 변환 홀더를 쓰면 되는데 일단 AA 자리에 배터리를 넣으면 무게중심이 달라지고 내가 늬끼기엔 AAA 자리에 넣는 게 훨씬 안정적이라. 대신 AAA 배터리를 넣고 AA 자리에는 홀더를 넣는 방법도 있다. 원래 AA, AAA 배터리 동시 사용이 불가능하게 설계되었지만 배터리 홀더는 연질이다 보니 잘 욱여넣으면 들어간다.ㅋ 하지만 이 방법은 대충 수 g의 홀더 무게가 추가된다..
넷기어 RAX120 간헐적 5GHz 끊김, 접속불가 문제 해결책
넷기어 RAX120 간헐적 5GHz 끊김, 접속불가 문제 해결책
2022.09.23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공유기 설정 페이지의 고급-고급 설정-무선 설정에서 맨 밑에 있는 'Disable PMF'에 췤하면 된다. 이 간단한 해결책을 가지고 한 달 동한 삽질했으니 억울해서라도 풀어야겠음. 갑자기 꽂혀서 메인 공유기를 RAX120으로 교체한 게 벌써 한 달이 훌쩍 넘었다. 근데 새 공유기를 설치한 이후로 나스의 DDNS 연결이 재개됐다는 메일이 하루에 두서너 개씩 막 날아온다. 바꾸기 전엔 일 년에 한두 번 보는 메일인데. 가끔 하루이틀 건너뛴 날도 있었지만, 뭐 '재개'니까 괜찮겠지 하며 대수롭지 않게 넘겼는데 어느 날 확인해보니 접속이 안 되네??? 바로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서 접속해서 연결된 기기 목록을 열어보니 나스용 노예인 R6700이 안 붙어있다. 흐음. 일단 R6700을 껏다..